8장 체온유지


01 체온
1. 체온조절 기전
1) 체온조절 중추: 뇌의 시상하부
2) 항상성 기전
(1) 열생산, 열소실 두 기전에 의해 이뤄짐
열생산
|
열소실
|
• 기초대사율
• 근육 활동
• 갑상샘 호르몬 분비: 화학적 열생산
• 발열로 인한 세포대사율 증가
• 호르몬 분비: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은 세포대사율
증가
|
• 피부를 통한 열소실(80%): 복사, 전도, 대류, 증발
• 불감성 소실: 호흡기, 소화기, 비뇨기계의 점막을 통한 열
소실
|
(2) 열과 냉에 대한 생리적 반응
|
열의효과
|
냉의 효과
|
국소순환반응
|
혈관확장
|
혈관수축
|
모세혈관 투과성
|
증가
|
감소
|
세포 대사작용
|
증가
|
감소
|
염증과정
|
증가
|
감소
|
근육
|
이완
|
수축성 감소
|
신경
|
전도속도 증가
|
전도속도 감소
|
통증
|
안위증진
|
장시간 후 무감각, 이상감각
|
2. 고체온과 저체온
1) 고체온
(1) 열소실을 촉진하거나 열 생산을 억제하는 능력이 불 충분하여 체온이 상승한 상태
미열 : 37.1~38.2℃
38.2℃가 넘는 열
고열 : 40℃가넘는열로나뉨
(2) 고체온의유형
|
정의
|
증상
|
간호
|
열피로, 열고갈
(heat exhaustion)
|
고온환경에장시간폭로→말
초혈관운동신경조절장애→
심박출량의부족▶ 순환부전에
의한 대뇌피질의 혈류량 부족
|
•수분손실이순환문제야기함
•빈맥,호흡곤란,저혈압등수
분상실로인한순환문제
• 피부차고축축하며창백함
|
대상자를눕힌다음염분이함
유된음료를마시게함
|
열경련
(heat cramps)
|
고온환경에서심한운동이나
작업→발한▶ 탈수와 염분 소실
|
•근육의통증성경련,경축
• 전구증상:현기증,이명,두
통,오심·구토
|
활동을멈추고염분제제나염
분이많이함유된수분을섭취
하도록함
|
열사병
(heat stroke)
|
고온다습한환경에서의심한
운동이나작업,옥외에서태양
의복사열을직접받음
▶ 시상하부 기능부전(열조절기
능 억압, 발한 감소)
|
•뜨겁고건조한피부
• 체온이급격히상승(40~42℃)
•두통,현기증,혼수상태
|
•체온하강,항신진대사제
•사지를격렬하게마찰
•호흡곤란시산소공급
|
2) 저체온(hypothermia)
(1) 심부온도가정상체온보다낮아지는경우
(2) 저체온증의간호중재
① 마른옷으로갈아입히고담요를덮어줌
② 머리에모자를씌워주거나덮어줌
③ 의식이있다면따뜻한음료를마시게함(알코올,카페인제외)
④ 환경을보온함
02 발열
1. 발열의 단계
|
오한기
|
발열기
|
해열기
|
정의
|
• 시상하부가높은수준으로지
정온도를올림으로써열생
산의기전이일어나는시기
▶ 상승기
|
새로지정된온도에도달하여상
승된체온이하강하지않고일정
기간지속되는시기▶ 고온기
|
시상하부가정상수준으로지정
온도내림으로써열소실기전일
어나는시기
|
증상
|
•오한(떨림),기모근수축(소름)
•차고창백한피부
•체온상승
•혈관수축,심박동수증가
|
•탈수증상:갈증,건조한구강점
막,소변량감소,요비중증가
•상기되고뜨거우며건조한피부
•근육통
•맥박과호흡증가
•불안정,혼미
|
•떨림감소,골격근긴장감소
•피부홍조,따뜻한피부
•발한
•탈수가능성
|
간호
|
•보온(여분의담요적용)
•수분섭취증가
|
•고열시미온수스펀지목욕
•수분섭취증가
•냉각도모위해환기시킴
•안정및휴식
|
•미온수목욕(오한느끼는대상
자는제외)
•구강으로수분섭취증가
•가벼운의복착용,홑이불덮
어줌
•활동제한
|
2. 열의 종류와 양상
구분
|
정의
|
간헐열
(intermittent fever)
|
체온이열이있는기간과정상또는정상이하기간사이에서규칙적인간격으로변화(1~2일
간격)
|
이장열
(remittent fever)
|
• 체온의변화가심하여하루중의체온의차가2℃이상으로넓고,모든체온이정상체온보다
높은상태
•보통아침에는낮은열,저녁에는높은열이며칠동안계속됨
|
계류열
(constant fever)
|
체온상승이며칠혹은몇주동안지속되나약간의변화는있으나항상고열상태가지속되는것
|
재귀열
(relapsing fever)
|
상승된체온이여러날동안지속되고며칠동안은정상체온으로변하는상태
|
소모열
(septic fever)
|
하루동안체온이불규칙하게상승하며,24시간동안변화의폭이2.2℃정도인상태
|
03 체온관련 간호
1. 열·냉요법의 효과
|
열요법
|
냉요법
|
소동맥혈관
|
확장(피부의발적)
|
수축(창백하고푸른빛을띤피부)
|
모세혈관
|
확장
|
수축(부종방지,혈관확장에의해야기되는통
증경감)
|
1회 심박출량
|
감소
|
증가
|
혈액점도
|
감소
|
증가
|
조직대사
|
증가
|
감소
|
호흡수
|
증가
|
감소
|
국소조직
|
국소조직의체온증가
|
국소조직의체온감소
|
통증
|
감소
|
국소마취효과로진통효과
|
염증반응
|
백혈구의증가및염증반응증가
|
염증반응의감소
|
2. 냉요법 적용
1) 건냉
얼음주머니(icebag):혈관확장에의해야기되는통증경감
2) 습냉
(1) 냉찜질,냉습포(coldcompress):출혈을예방하거나감소
(2) 미온수스펀지목욕
3. 열요법 적용
1) 건열
(1) 더운물주머니(hotwaterbottle)
① 국소적인혈액순환증가시킴
② 대상자에게피부보호를목적으로바셀린을발라주거나습포와피부사이에수건이나천을대줌
(2) 가열램프:열을받는부위로부터45~60cm떨어진곳에램프를위치시켜화상을입지않도록함
(3) 가열크래들:신체부위에압박을가하지않으면서열적용이가능함
2) 습열(화상 위험이 높음)
(1) 온찜질,온습포(hotcompress):습포를댈부위의순환장애를확인
(2) 더운물에담그기,침수(hotsoak):화농을촉진하고삼출물을줄이며치유촉진,지정된부위에투약의효
과를높임
4. 건열 vs 습열 비교
|
습열 적용(43~45℃)
|
건열 적용(52℃까지)
|
적용 방법
|
•온찜질,온습포
•온욕,온침수
•좌욕
|
•더운물주머니
•가열램프,가열크래들
•전기가열패드
|
장점
|
•조직층깊이침투됨
•피부의건조를감소시키며삼출물연화시킴
•발한이나불감성수분소실증가시키지않음
|
•피부침윤초래하지않음
•열을더오래보유함
•피부에대한화상위험적음
|
단점
|
•지속적인노출은피부의침윤초래함
•습기의증발로인해열이속히식을수있음
•증기가열을전도하므로피부에대한화상위험큼
|
•조직속으로열이깊게침투하지못함
•피부건조증가시킴
•발한을통해체액손실이증가됨
|
'간호조무사(간호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조무사 및 간호사 국가시험대비 기본간호학 요점 정리 10장. 안위요구 (0) | 2022.06.02 |
---|---|
간호조무사 및 간호사 국가시험대비 기본간호학 요점 정리 9장. 활동 및 운동 요구 (0) | 2022.06.01 |
간호조무사 및 간호사 국가시험대비 기본간호학 요점 정리 7장. 개인위생 (0) | 2022.05.31 |
간호조무사 및 간호사 국가시험대비 기본간호학 요점 정리 6장. 배설요구 (0) | 2022.05.30 |
간호조무사 및 간호사 국가시험대비 기본간호학 요점 정리 5장. 영양 (0) | 2022.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