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배학

지도사, 농업직 9급 등 재배학 요약 정리 2강 작물의 분류와 품종

반응형

2강 작물의 분류와 품종

■ 학습개요

재배식물은 식물분류학적 분류, 농업상 용도에 의한 분류, 생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 재배 · 이용에 의한 분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수품종의 육성 · 보급은 생산성 향상은 물론 재배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경영의 합리화를 꾀하여 사회 · 경제적 안정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 학습목표

작물의 식물학적 분류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농업상 용도 · 생태적 특성, 재배 · 이용에 따라 작물을 분류할 수 있다.

품종과 계통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신품종의 구비조건을 설명할 수 있다.

변이의 종류와 변이의 작성을 설명할 수 있다.

■ 주요용어의 정리

주형작물 : 벼, 맥류 등과 같이 식물체가 포기를 형성하는 작물을 말한다.

대파작물 : 가뭄이 심해서 벼를 못 심고 대신 메밀 등을 파종하여 재배할 때 이를 대파작물이라고 한다.

질적형질 : 색깔과 같은 것은 붉은 것과 흰 것으로 뚜렷이 구별되는 것은 질적형질이 된다. 불연속변이를 한다.

양적형질 : 초장이나 수량과 같이 계측ㆍ계량할 수 있는 형질을 말한다. 형질의 발현정도를 계량ㆍ계측할 수 있는 유전형질로서 연속변이를 한다. 평균ㆍ분산ㆍ상관ㆍ희귀 ㆍ유전력 등 여러 가지 통계적 수단에 의해서 유전적 배경을 분석할 수 있다. 간장(稈長)은 작은 것에서 큰 것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정도로 표현한다.

1. 작물의 종류, 식물학적 분류

1) 작물의 종류

⊙ 작물의 종류 : 약 2,500종

➢ 식용작물 : 888종

➢ 조미료 작물 : 186종

➢ 사료작물 : 327종

➢ 기호료 작물 : 70종

➢ 채소작물 : 342종

2) 식물학적 분류 - 학명

① 이명법

㉠ 린네(Carl von Linne)가 1753년에 출판한 『식물의 종』에서 제창한 것

㉡ 속과 종의 이름을 붙여 명명하는 것

② 작물은 식물분류학적인 분류와 다른 분류법을 조합하여 분류하는 것이 보통

3) 학명의 구성

① 속명(屬名)과 종명(種名)

㉠ 속명 : 라틴어의 명사로서 첫 글자는 반드시 대문자로 표시

㉡ 종명 : 소문자의 라틴어로 표시

② 종(種)이하

아종(亞種) subsp. 또는 ssp.(subspecies),

변종(變種) var.(varietus),

품종(品種) forma(=form. =f.)로 표시

③ 빵밀

: 보통계 6배체(AABBDD)인 T.aestivum

④ Beta vulgaris 에 속하는 작물

: 사탕무, 사료용 순무, 근대

⑤ Brassica oleracea 에 속하는 작물

: 케일, 양배추

2. 농업상 용도에 따른 분류

용도
생태적특징
재배/이용
① 식용 작물
② 공예 작물
(특용 작물)
③ 사료 작물
④ 녹비 작물
⑤ 원예 작물
① 생존연한
② 생육계절
③ 온도반응
④ 생육형
⑤ 저항성
① 작부방식
② 토양보호
③ 경영
④ 녹비 · 사료
작물 용도

1) 용도에 따른 분류★

가. 식용작물

- 곡식류

• 화곡류 : 쌀

• 맥 류 : 보리, 밀, 귀리, 호밀

• 잡곡류 : 조, 옥수수, 수수, 기장, 피

• 두 류 : 콩, 팥, 녹두, 완두, 땅콩

- 서류

• 감자, 고구마

나. 공예작물(특용작물)

• 섬유작물 : 목화, 삼, 모시풀, 아마, 양마, 왕골,수세미, 닥나무

• 유료작물 : 참깨, 들깨, 아주까리, 유채, 해바라기,땅콩, 콩

• 당료작물 : 사탕수수, 단수수

• 약용작물 : 제충국, 인삼, 박하, 호프

• 전분작물 : 옥수수, 감자, 고구마

• 기호작물 : 차, 담배

다. 사료작물

• 벼과 : 옥수수, 귀리, 티머시, 오처드그라스, 라이그래스 등

• 콩과(두류) : 알팔파, 화이트크로버

• 기타과 : 순무, 비트, 해바라기, 뚱딴지

라. 녹비작물

• 화본과 : 귀리, 호밀 등

• 콩과(두류) : 자운영, 베치 등

마. 원예작물

* 과수

• 인과류 : 배, 사과, 비파

• 핵과류 : 복숭아, 자두, 살구, 앵두

• 장과류 : 포도, 딸기, 무화과

• 견과류 : 밤, 호두 등

• 준인과류 : 감, 귤 등

* 채소

• 과채류 : 오이, 호박, 참외, 수박, 토마토

• 협채류 : 완두, 강낭콩, 동부

• 근채류 : 무, 당근, 우엉, 토란, 연근

• 경엽채류 : 배추, 양배추, 갓, 상추,

샐러리, 시금치, 미나리

화훼및 관상식물

• 초본류 : 국화, 코스모스, 달리아, 난초

• 목본류 : 철쭉, 동백, 유도화, 고무나무

3. 생태적특성, 재배이용에 의한 분류

1) 생존연한에 따른 분류

• 일년생작물 : 벼, 옥수수, 대두

• 월년생작물 : 가을밀, 가을보리 등

• 다년생작물 : 호프, 아스파라거스 등

• 이년생(biennials)작물 : 무, 사탕무 등

2) 생육계절에 따른 분류

• 하작물(夏作物) : 대두, 옥수수

• 동작물(冬作物) : 가을보리, 가을밀

3) 온도반응에 따른 분류

• 저온작물 : 맥류, 감자 등

• 고온작물 : 벼, 콩, 옥수수 등

4) 생육형에 따른 분류

• 주형작물 : 벼, 맥류

• 포복형작물: 고구마

5) 저항성에 따른 분류

• 내산성작물 : 감자

• 내건성작물 : 수수

• 내습성작물 : 밭벼

• 내염성작물 : 사탕무, 목화 등

* 재배이용관점에 따른 분류

1) 작부방식에 따른 분류

• 대파작물(代播作物) : 조, 메밀, 채소

• 구황작물(救荒作物) : 조, 피, 기장, 메밀, 고구마, 감자

• 흡비작물(吸肥作物) – 청소작물 :

: 옥수수, 수수, 알팔파, 스위트클로버

2) 토양보호에 따른 분류

• 토양보호작물 : 피복작물

• 토양조성작물 : 콩과목초, 녹비작물

3) 경영에 따른 분류

• 동반작물 : 하나의 작물이 다른 작물에 어떠한 이익을 주는 조합 식물

• 자급작물 : 쌀, 보리

• 경제작물 : 담배, 아스파라거스, 촉성재배채소

4) 녹비, 사료작물의 분류

• 청예작물 : 사료작물을 풋베기하여 주로 생초를 먹일 때

• 건초작물 : 티머시, 알팔파 등

• 사일리지작물 : 옥수수, 수수, 풋베기콩

• 종실사료작물 : 맥류, 옥수수 등

4. 작물의 품종

1) 품종의 개념과 구비조건

• 작물 각각의 종류를 그 특성에 기초하여 다시 작게 나눈 단위의 명칭

•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특성(구별성)을 가지고 실용상 지장이 없는 균일성과 안정성을 갖춘

개체군 또는 상업적 생산을 위해 재생 가능한 집단

• Distinctness, Uniformity, Stability(DUS)

• 품종보호요건 : 신규성, 구별성, 균일성, 안정성, 고유한 품종명칭

2) 우량품종

• 품종 중에서 재배적 특성이 우수한 것

• 국가품종목록에 등재 – 생산 · 판매 할 수 있음

3) 계통의 개념

• 혼형 또는 혼계의 집단에서 유전형질이 서로 같은 집단을 다시 가려낸 것

• 변이체의 자손

• 계통 중에서 유전적으로 고정 된 것 – 순계

4) 변이의 종류

• 유전변이 : 다음 세대 유전, 유전변이가 크다는 것은 유전자형이 다양하다는 의미이다.

• 환경변이 : 유전되지 않음

5) 불연속변이

• 꽃색깔이 붉은 것과 흰 것(질적형질) - 쉽게 선발

6) 연속변이

• 키가 작은 것 부터 큰 것에 이르기까지 여러 등급 (양적형질)

- 평균, 분산, 희귀, 유전력 등의 통계적 방법에 의해 유전분석

7) 변이의 작성

• 인공교배, 돌연변이 유발, 염색체조작, 유전자전환

■ 핵심요약정리

작물의 분류

① 식물학적 분류 : 문, 강, 목, 과, 속, 종

② 농업상 용도에 의한 분류 : 식용, 공예, 사료, 녹비, 원예작물

③ 생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 : 생존연한, 생육계절, 온도반응, 생육형, 저항성

④ 재배· 이용에 의한 분류 : 작부방식, 토양보호, 경영, 사료작물의 용도

품종과계통

- 품종 : 작물의 기본단위로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특성(구별성)을 가지고, 특성이 균일하며(균일성), 세대가 진전되어도 그 특성이 변하지 않는(안정성) 개체군

- 계통 : 혼형 또는 혼계의 집단에서 유전형질이 서로 같은 집단을 다시 가려낸 것. 변이체의 자손

학명의구성

- 이명법 : 속명과 종명으로 종(種)을 나타내고 명명자의 이름을 붙인다.

신품종의 구비조건

- 구별성(distinctness)

- 균일성(uniformity)

- 안정성(stability)

➢ 학명 : 속명+종명+명명자

➢ 작물의 분류 : 농업상 용도, 생태적인 특성, 재배이용에 따른 분류

➢ 용도 : 식용작물, 공예작물(특용작물), 사료작물, 녹비작물, 원예작물로 구분

• 섬유작물 - 목화, 삼, 모시풀 등 • 유료작물 – 참깨, 들깨, 유채, 땅콩, 콩 등

• 전분작물 – 옥수수, 감자, 고구마 등 • 약용작물 - 제충국, 인삼, 박하, 홉 등

• 당료작물 – 사탕수수, 단수수 등 • 기호작물 – 차, 담배 등

➢ 생태적 특성 : 생존연한, 생육계절, 온도반응, 생육형, 저항성에 따른 분류

• 이년생작물 : 무, 사탕무 등 • 주형작물 : 벼, 맥류

• 포복형작물 : 고구마 • 내산성작물 : 감자

• 내건성작물 : 수수 • 내습성작물 : 밭벼

• 내염성작물 : 사탕무, 목화 등 • 내풍성작물 : 고구마

➢ 신품종 구비조건 (DUS) : 구별성(distinctness), 균일성(uniformity), 안정성(stability)

➢ 품종보호요건 : 신규성, 구별성, 균일성, 안정성, 고유한 품종명칭

■ 연습문제

Q1. 용도에 의한 작물분류로서 옳은 것은?

1

식용작물 : 벼, 콩, 유채, 사탕수수

2

공예작물 : 녹두, 강낭콩, 박하, 담배

3

사료작물 : 옥수수, 알팔파, 클로버, 귀리

4

원예작물 : 국화, 사과, 헤어리베치, 자운영

정답 : 3

해설 : 공예작물 - 사탕수수, 유채

식용작물 - 녹두, 강낭콩

녹비작물 - 자운영, 헤어리베치

Q2. 작물을 생태적인 특성에 따라 분류한 것은?

1

1년생작물

2

피복작물

3

중경작물

4

녹비작물

정답 : 1

해설 : 작물은 생태적 특성인 생존연한에 따라 1년생 작물, 월년생 작물, 2ㆍ3년생 작물, 다년생 작물 등으로 분류한다.

Q3. 한 품종 내의 유전형질이 서로 같은 집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순계

2

아종

3

계통

4

정답 : 3

해설 : 계통의 균일성이 영속적이 되도록 유전적으로 순수하게 고정되면 품종이 될 수 있다.

Q4. 품종의 특성 중 양적형질이 아닌 것은?

1

종피의 색

2

종실의 단백질 함량

3

작물의 키

4

수량

정답 : 1

해설 : 길이, 넓이, 무게 등의 수량으로 나타낼 수 있는 유전적 형질을 양적형질이라 한다. 종피의 색은 질적형질이다.

Q5. 유전형질 중 양적형질에 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변이가 연속적이고 환경에 의한 영향이 크다.

2

변이가 연속적이고 환경에 의한 영향이 작다.

3

변이가 불연속적이고 환경에 의한 영향이 크다.

4

변이가 불연속적이고 환경에 의한 영향이 작다.

정답 : 1

해설 : 양적형질은 환경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 연속적 변이를 한다.

■ 단원 정리하기

작물은 식물분류학적 분류, 농업상 용도에 의한 분류, 생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 재배ㆍ이용에 의한 분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용도에 따라 식용작물, 공예작물, 사료작물, 녹비작물, 원예작물 등으로 구분한다.

생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로서, 생존연한에 따라 일년생작물ㆍ월년생작물ㆍ이년생 작물ㆍ다년생작물로 나눈다. 온도반응에 따라서는 저온작물ㆍ고온작물ㆍ열대작물 등으로 나누며, 그 밖에 여러 가지 환경에 대한 적응성에 따라서도 분류한다.

작물은 재배ㆍ이용상의 특수성에 따라서, 작부방식에 따라서, 앞작물ㆍ뒷작물ㆍ대파작물ㆍ구황작물ㆍ흡비작물ㆍ청소작물로 나눈다. 토양보호에 따른 분류로서 피복작물, 토양보호작물, 토양조성작물로 나눈다.

‘품종’이란 다른 것과 구별되는 특성을 가지고, 그 특성이 재배ㆍ이용상 지장이 없을 정도로 균일하며, 세대가 진전되어도 균일한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 개체군을 가리킨다.

신품종의 구비요건은 구별성, 균일성, 안정성 등 세 가지이다. 신품종이 보호품종으로 되려면 신규성, 구별성, 균일성, 안정성, 고유한 품종명칭을 갖추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