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사 & 복지직 공무원 등 지역사회 복지론 12장. 사회복지사의 역할

12. 사회복지사의 역할

1. 지역사회 개발모델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1) 사회복지사의 기능과 자질

(1) 지역사회복지에서 일반적인 사회복지사의 기능

▷ 사회복지, 보건의 종합적인 상담의 기능

▷ 다양한 재가복지서비스의 기능

▷ 주민의 사회복지 이해를 촉진하거나 자원봉사활동을 포함한 비공식적 조직의 조직화 기능,

▷ 사회복지의 조정의 기능

▷ 사회복지 보편주의에 입각한 욕구 파악과 욕구 충족, 욕구발생 예방의 기능

(2) 지역사회 사회복지사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기술

▷ 자 질: 카운슬러(counsellor), 분류가(clarifier), 조정가(coordinator),

개별사회사업가(case worker), 협력자(copartner)

▷ 기 술: 관계형성(engagement skills), 조직화(organizational skills),

기획(Planning & Policy skills), 행동(action skills),

의사소통(communicating skills), 정치적 기술(political skills)

(3) 지역사회 사회복지사 업무

실 천 방 법
목 표
역 할
개별적인 상담
개별욕구의 충족
상담 및 서비스로의 매개
자조집단
집단의 자립적 운영
멤버에 대한 측면적
지원·대변
소지역 네트워크
주민에 의한 협동활동의 활성화
활동자에 대한 측면적
지원·조정
정보제공·의식개발
정보의 고도화·주민의 의식개혁
정보의 수집과 분석·정보매체의
개발
복지교육
활동의 활성화·리더십 개발
학습자료개발·학습자에게 측면적
지원
자원·서비스개발
자원/서비스의 창출
자원·서비스의 마케팅 개발
서비스조정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
관계자간의 조정/매개
행정
합리적인 조직 운영·관리
업무분석·운영관리
지역사회복지계획
계획적 변혁
분석/기획·조직간의 조정
사회행동
정책·제도의 개혁
합의 형성·대변활동·교섭

2) 지역사회조직가로서의 역할

▷ 주된 목표: 지역사회주민들의 능력강화(empowerment)

▷ 지역사회 개발모델, 사회계획/정책모델, 사회행동모델

(1) 루빈 등(Rubin & Rubin)

▷ 자원획득을 위한 도움단계

▷ 의식제고 :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무력감을 느끼는 원인이 그들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을 억압하는 사회구조에 있음

- 자기주장 : 주민들이 자기주장을 하도록 함. 공개적인 자기주장 자체가 임파워먼트가

될 수 있음

- 공공 의제화 : 어떤 쟁점을 공공의제로 만들도록 하고 그 과정에서 시위나 대중매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

- 권력 키우기 : 주민들을 동원하거나 법적 행동을 통하여 힘을 강화 시킴

- 역량 키우기 : 조직을 건설하고 캠페인을 전개하여 스스로의 무력감을 극복하도록 도움

- 사회자본의 창조 : 사회적 자본을 창출하여 지역사회주민 상호 간의 협력과 연대감을

강화시켜야 함.

▷ 사회행동에서 연대유형

- 협력(cooperative effort), 협동네트워크, 연합(coalition), 동맹(alliances)

3) 지역사회개발가로서의 역할

(1) 켈리 등(Kelley, Balderrabano, Briseno)

▷ 상담가, 연구자, 정책분석가, 촉진자(enabler), 계획가, 프로그램개발자, 조직자, 재활가, 지지자,

조정자, 교육가, 중재자

(2) 루빈 등(Rubins & Rubin)

교사로서 조직가, 촉매자로서 조직가, 촉진자(후원자)로서의 조직가, 연결자(매개자)로서 조직가

(3) 갤러허와 센토폴로(Gallaher & Santopolo)

▷ 사회학적 관점

▷ 분석가, 자문가, 지지자, 혁신자

▷ 지역사회개발가는 과정기술에 있어는 전문가, 기술적 측면에서는 일반론자로 간주 됨.

(4) 베네트(A. Bennett)

▷ 과정상담가 : 특정 집단행위의 결과보다 문제해결, 의사결정, 조직화, 촉진, 실행의 방법에

초점. 변화 촉진을 위한 개발 및 실천전략

▷ 기술상담가 : 구체적인 변화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지역사회에 대한 정보, 요령(know-how),

목표전망을 제공, 지역사회에 대한 정확한 기술정보를 공급하는 것이 개발의

핵심적 부분이기 때문에 개발대안에 대한 정보제공/분석이 핵심

▷ 프로그램 지지자

▷ 조직자 역할 : 지역사회가 행동을 조직화하도록 도움. 조직이 효과적으로 가능한가를 확인하는

역할

▷ 자원제공자 : 재정적 자원을 지역사회로 연결 함.

(5) 지역사회 개발가의 일반적인 역할

▷ 지역사회문제와 욕구파악, 변화목표설정과 계획수립, 동기부여 및 자원동원, 성과분석,

광역지역사회관계

4)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역할

(1) 개요

▷ 사회복지사가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수행하게 되는 역할은 여러 가지 사회적 조건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특히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적과 형태에 따라 역할의 내용이 달라짐

▷ 전문사회사업가가 수행하는 역할은 사업의 유형에 따라 다양하며, 구체적인 사업의

성격이나 진행과정에 따라 다양함

▷ 여러 학자들의 분류

지역사회개발모델
사회계획모델
사회행동모델
로스
(Ross)
리피트
(Lippitt)
모리스
와빈스톡
(Morris &
Binstock)
샌더스
(Sanders)
그로서
(Grosser)
그로스만
(Grossman)
안내자
(guide)
조력자
(enabler)
전문가
(expert)
치료자
(therapist)
촉매자
(catalyst)
전문가
(expert)
실천가
(implementer)
조사자
(researcher)
계획가
(planner)
전문가
(professional)
분석가
(analyst)
계획가
(planner)
조직가
(organizer)
행정가
(program
administrator)
조력자
(enabler)
중개자
(broker)
옹호자
(advocate)
행동가
(activist)
행동조직가
(organizer)

5) 지역사회 개발모델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1) 안내자의 역할

▷ 1차적인 역할, 문제해결을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해결방안을 마련하도록 돕는 역할

▷ 내용 : 문제해결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 지역사회문화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함, 잠재능력 파악, 변화 후 장래모습 예견함, 지역사회조건에 대한 객관적

입장, 지역사회와 동일시 함, 문제해결과정의 주도권 발휘, 자기역할 수용,

자기역할에 대한 설명을 함

▷ 안내자 역할의 원칙

- 일차적 역할 : 목표설정, 해결하는 방안을 강구하도록 도와주는 역할 강조

- 주도권 발휘 : 자유방임이나 수동적인 자세가 아님

- 객관적인 입장 : 지역사회조건에대하여칭찬이나비난등의감정표현주의

- 지역사회 전체에 동일시 : 특정 사업에 대한 찬반의 의견보다는 주민들이 협력적인

- 결정을 내리도록 도움 제공

- 자기 역할 수용 : 자기의 행동에 대한 자제력 필요.

- 자신의 역할에 대한 설명 : 지역사회의 이해와 수용 노력

(2) 조력자의 역할

▷ 불만을 집약하는 일(촉매자의 역할): 함께 해결해야 할 지역사회문제로 확인

▷ 조직화를 격려하는 일: 상호간의 논의 전개, 우선순위 결정, 조직결성

▷ 좋은 인간관계를 육성하는 일: 주민들 간에 원만한 관계를 수립할 수 있도록 교량적인 역할

필요

▷ 공동목표를 강조 하는 일: 궁극적인 목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관심을 환기

(3) 전문가의 역할

▷ 자기가 권위 있게 말할 수 있는 분야에 있어서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직접적인 충고(조언

제공)를 함.

▷ 내용 : 지역사회 진단, 조사의 기술, 타 지역에 대한 정보, 방법에 관한 조언, 기술상의 정보,

평가

(4) 사회치료자의 역할

▷ 적절한 진단을 통해 규명된 성격과 특성을 주민에게 제시하여 그들의 이해를 돕는 일

▷ 주민들이 문제에 대한 성격을 이해함으로써 긴장을 해소하게 하며 협력적인 작업을

방해하는 요인 제거 도움 줌

▷ 지역사회의 공동 노력을 크게 저해하는 금기적 사고나 전통적인 태도로 집단을 긴장상태로

만들고 불화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이를 변화시키는 활동을

전개함.(공동 노력의 장애물에 대한 진단과 치료시행)

▷ 치료를 통하여 긴장 해소, 협력적인 작업을 방해하는 요인 제거

2. 사회계획모델에서의 사회복지사 역할

(1) 모리스와 빈스톡의 계획가

▷ 사회적 서비스를 개선하고 사회문제를 완화시키는 주요수단은 공공기관의 정책을 고치는

것이며, 사회복지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함

▷ 자기의 모든 결정과 조치의 지침이 되는 ‘목표’(preferencegoal)를 선택하기 위해 인과관계에

관한 그의 지식을 활용 함

▷ 지배세력집단을 찾아낸 다음에는 이들에게 영향력이 행사될 수 있는‘길’(pathways):

① 책무(obligation)

② 친분관계(friendship)

③ 합의적인 설득(rational persuasion)

④ 의사를 사게 하는 것(seling)

⑤ 압력 (coercion)

⑥ 유인(inducement)

▷ 자기가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자원(sources of influence) 중에서 주어진 상황에 가장

적절한 것을 선택하게 되는 자원.

① 돈과 신용(money and credit)

② 정력(personal energy)

③ 전문성(professional expertise)

④ 인기(popularity)

⑤ 사회적 기반, 정치적 기반(standing)

⑥ 정보의 통제(control of information)

⑦ 적법성(legitimacy and legality)

▷ 계획가는 자기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해서 이 같은 자기의 영향력을

앞에 열거한 방도에 맞게 활용하려고 함

(2) 분석가로서의 역할

▷ 사회문제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조사

▷ 사회변화를 위한 프로그램 과정 분석

▷ 계획 수립과정에 대한 분석

▷ 유도된 변화에 대한 평가

(3) 계획가로서의 역할

▷ 물리적이고 물질적인 면보다 철학적(인간적인)면을 강조

▷ 내용 : 사업계획에는 일반적으로 이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철학이 반영되기 마련, 모든

사업계획은 목표를 설정해야 하며, 계획철학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수단에도 반영됨,

계획에 관한 행정에도 중앙집권적 혹은 분권적 결정에 의존할 것이냐 하는 데도 반영됨

(4) 조직가로서의 역할

▷ 지역주민이나 단체를 지역사회 행동체계에 참여시킴

▷ 내용: 참여 역할을 분명히 함, 역할 수행을 위한 훈련, 사기 진작과 능력을 격려

(5) 행정가로서의 역할

▷ 행정가로서의 역할은 계획을 수립하고 지역사회가 이를 수용하게 하거나 프로그램이 실제로

운영되고, 주민들이 이것에 대해 알고 반응을 보이는 단계에서 발휘되는 것임

▷ 행정가로서 특히 유의해야 할 점은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규칙과 절차를 적용함에 있어 목표를

유념해야 하고, 지나치게 형식적인 면을 강조하지 말고 융통성을 발휘

3. 사회행동모델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

(1) 조력자의 역할

▷ 서비스 수혜자 입장보다 제공자인 기관의 입장에서 일하는 경향을 비판하고, 불우계층의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해 그들 편에 서서 활동 전개하고 주민이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 간접적 개입, 중립적 입장

(2) 중개자의 역할

▷ 지역주민이 필요로 하는 자원이 어디에 있다는 것을 가르쳐 줌으로써 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줌.

▷ 직접적 개입, 기능주의적 입장, 집단적인 중개(collective brokerage)의 차원으로 확대

(3) 옹호자의 역할

▷ 필요한 정보를 끌어내고 지역주민들의 입장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지도력과 자원을 제공함.

▷ 정보수집/ 주민입장의 정당성주장

▷ 사회복지사는 그의 전문적 입장을 오로지 클라이언트의 이익을 위해서 사용해야 함.

(4) 행동가의 역할

▷ 갈등적인 상황에서 중립적이거나 수동적인 자세를 거부하는 행동가의 역할을 수행하며

클라이언트의 행동을 조직화 함

(5) 그로스만(Grossman)의 행동조직가

▷ 그로스만은 미국의 동부와 서부 해안지역에 인접해 있는 도시에서 실시되고 있는 20개의

‘사회행동지향적인 사업’(social action oriented organizing projects)에 관해 4개월간에 걸친

탐색조사를 실시하고, 사회사업가의 역할에 대한 흥미 있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음

▷ 조사대상기관의 공통적인목표

① 지역사회의 자조능력을 활성화

② 권력구조로 하여금 기존의 업무자세를 버리고, 압력을 가하는 집단(취약계층)의 요구에

보다 잘 부응하는 업무활동을 하도록 하는 사회행동을 강조

③ 이러한 노력을 통해서 지역사회의 취약계층의 영속적 혹은 반영속적인 권력기반을 구축

▷ 기관의 사회행동 프로그램의 주제

① 사회문제적인 주제

② 개념적인 주제

③ 자조와 관련된 주제

④ 개별적인 사회행동

⑤ 정치적인 주제

▷ 기술의 과업

▷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지닌 과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