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지역사회복지 역사에 대한 이해2
1. 일본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전쟁이후의 지역사회복지
(1) 지역사회복지의 기원(1880년대 말-1945년이전)
▷ 2차 세계대전 이전의 지역사회복지 사업의 활동은 미진하였다 할 수 있으며 그 기원은
1897년 전후로 최초의 인보관임
▷ 빈곤의 근대사회적 원인에 대한 이해가 없었기에 빈곤에 대한 국가 차원의 책임은 회피 했던
경향이 있음
(2)지역사회복지의 출발(1945년이후-1970년대)
▷ 2차 세계대전 이후 근대적 의미의 지역사회복지 라는 용어가 나타남
▷ 사회복지협의회가 중심이 되어 지역사회복지를 지향하였음
▷ 미국의 사회복지방법론이 1960년대 도입되어 실천기술로서 지역사회조직사업이 정착하게 됨
▷ 시설보호 중심에서 재가보호 중심 서비스로의 전환
→ 재가복지의 활성화, 사회복지협의회의 활동(재가복지서비스 활성화 강조),
→ 민생위원활동의 재가복지서비스 전개
▷ 경제사회발전계획(1967-1971)속에서 처음으로 지역사회복지 정책 등장
→ 지방자치법 제2조를 개정하여 시정촌 단독의 지역사회복지계획이 아니라 종합계획이
되도록 규정함
2) 지역사회복지 정책등장과 확대 발전
(1)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1970년대-1980년대 초)
▷ 경제성장에 따른 도시화, 핵가족 증가, 농촌 인구 과소화 등 재가복지서비스 필요성이
강조되고, 지역사회복지의 중심이 민간단체활동에서 정부/지방자치단체로 이행하기 시작함
▷ 1973년 오일쇼크로 인하여 신보수주의에 의한 ‘복지재검토론’이 등장하면서 정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으로서 강조
▷ 정부/지방자치단체의 재가복지서비스 확대
▷ 지역사회 구상과 함께 자원봉사정책의 중요성 강조
(2) 지역사회복지의 발전기(1980년대-현재)
▷ 복지에 대한 공적 책임 축소
- 자조, 상호보조, 민간의 활성화를 기본으로 하여 공적 책임의 축소와 가족, 지역사회로의
책임전가 표방
▷ 행정개혁 감행
- 사회보장의 복지예산 중 국가부담, 보조금 10% 축소
- 기존의 사회복지 업무인 기관위임 사무가 단체위임 사무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 지역
주민과 밀접한 지방공공단체의 책임과 역할이 증대 됨.
▷ 지역복지계획
- 거시적 차원 : 지역사회의 인력재원 시설들을 조사하여 지역주민들의 욕구를 연계하는
활동과 각 지역별 지방자치단체의 문제점 인력기관 등을 파악하는 지표가 마련됨
- 미시적 차원 : 지역주민들의 보건과 복지를 연계하는 건강 네트워크를 확립하고
주택과 환경의 개선, 고령자와 장애인들을 위한 재가복지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역주민들의 사회참여를 위한 인력양성사업을 전개함
2. 한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전통적 지역사회복지(정부주도/민간주도)
(1) 정부주도
▷ 정부에 의한 인보제도
- 성문법으로 규정되거나 관습적인 규범으로 강제성을 띤 것이 아니라. 당위성을 띤 재량권의
시책이었음
- 애민육조로 표현되고 있는 6가지 복지시책(목민서) :
노인양로, 고아보호, 애상, 진궁, 관질, 구재
- 오가통 :
인보제도. 각 하급 지방행정 구획을 일정수의 호수로 세분화하여 그 구역내 거주하는 모든
성원이 인보 상조와 연대책임으로 서로도운 일종의 지방자치제도, 오가작통법
- 국가 단위 상설복지기구
→ 의창 : 신라시대, 흉년 든 해에 기민을 규제하기 위하여 양곡을 저장/보관해두는 제도,
생활보호와 성격이 같음
→ 상평창 : 고구려시대, 빈민에 대해 곡물을 대여하고 상환의 의무가 주어짐
→ 진휼청 : 흉년에 빈민을 구제하는 국가 기관
→ 기타 : 동서대비원, 활인서, 혜민서, 기노소
(2) 민간주도
▷ 촌락단위의 복지활동
- 두레 : 농민들의 상호협동체
- 계 : 공제를 위한 계
- 품앗이 : 부락내 농민들이 노동력을 서로 차용 또는 교환하는 조직
- 향약 : 지식인들 간의 자치적인 협동조직
- 사창: 재앙이나 흉년에 대비하여 미리 향민에게 곡식을 징수 또는 기증 받아 저장 해 두는
촌락단위의 구휼제도
- 공굴 : 마을안에 중병자나, 불구자, 과부, 초상 당한 사람이 농사를 같은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지어 주는 민속
- 부근 : 농삿일 뿐만 아니라 동네 사람이 집을 신축 할 때 또는 10세 미만의 아이가
죽었을 때 장사 등의 동원봉사를 의미
- 향도 : 향도란 상여를 메는 사람이란 뜻에서 유래, 마을에 흉사가 있을 때 무보수로 봉사
- 고지: 궁핍한 사람들끼리 연대 책임으로 농업 경영자와 노동청부의 계약을 맺고 양식이
떨어진 춘궁기에 노임으로 양식을 선불 받아 그것으로 춘공기를 나고 농번기에
계약된 노동을 제공하는 것
- 부조: 오늘날 금품공여와 같은 부조
Tip 일제강점기의 지역사회복지
▷ 식민정책의 일부인 시혜 또는 자선으로서 우리 민족의 충성을 얻으려는 정치적 의미가
컸음
▷ 근대적 의미의 지역사회복지사업이 싹트기 시작 함.
▷ 일제하의 사회복지사업
- 사회복지지도기관 : 사회복지협의회와 유사한 업무를 하였으나 정부기관 성격
- 협동조합운동
- 조선구호령: 1944년 3월. 공공부조의 기본이 된 법
- 사회복지시설과 사업: 각종 어린이 보호시설 설립, 구빈과 방빈사업 시설 갖춤,
-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인보 상부상조와 국민자각을 향상 시킨다는 명목으로 다수의
인보관 개설함
2) 근대적 지역사회복지
(1) 해방 이후의 지역사회복지
▷ 우리나라 복지사업은 해방 이후의 사회혼란과 한국전쟁이 낳은 불우한 사람들을 위한
수용시설 사업이 주류를 형성했고 이에 따라 지역사회복지사업은 외국 민간원조 기관에
의한 것이 1970년대 까지 주류를 이룸
▷ 서구의 사회복지 개념은 1900년대 초기부터 외국 선교사의 선교활동 일환으로 소개됨
▷ 외국 민간원조단체 한국연합회 KAVA(Korean Association of Voluntary Agencies)
- 70여개의 단체중 28개는 보육, 보건, 사회복지, 구호 및 지역사회개발의 사업에 직접적인
유대를 가지고 있었으나, 42개 단체는 주로 기독교 복음전파의 사명과 목적을 갖고
종교사업에 치중하면서 부수적으로 교육, 구호, 보건, 사회복지분야에서 사업활동을 전개함.
▷ 지역사회개발사업
- 1955년 UN에 의해서 후진국의 경제/사회발전에 주창됨.
- 1970년대 새마을운동사업으로 전환됨
- 1980년대 지역사회복지관 설립, 재가복지서비스 도입, 지역사회행동모델 확대
- 1987년 사회복지전담공무원 도입
3) 최근의 지역사회복지
▷ 1990년대 이후 지방자치제도 실시, 사회복지정책의 확대, IMF 경제위기
▷ 1995년 지방자치제의 실시- 지역사회복지의 제도적 뒷받침
▷ 1997년 사회복지기관의 평가 실시 - 지역사회복지실천 영역확대와 전문성 확보
▷ 2000년대 지역사회복지계획수립,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사회복지협의회 법인독립화.
▷ 2005년 사회복지사업 지방이양, 한시적 분권교부세 제도도입. 지역아동센터 법제화
▷ 2007년: 아동발달지원계좌, 건강가정지원센터,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수요자중심의
지원방식 전환의 전자바우처, 드림스타트 실시
▷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 사회복지통합통합관리망(행복e음)개통/운영
'지역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사 & 복지직 공무원 등 지역사회 복지론 8장. 지역사회복지 기초이론 2 (0) | 2022.08.19 |
---|---|
사회복지사 & 복지직 공무원 등 지역사회 복지론 7장. 지역사회복지 기초이론1 (0) | 2022.08.18 |
사회복지사 & 복지직 공무원 등 지역사회 복지론 5장. 지역사회복지 역사에 대한 이해1 (0) | 2022.08.18 |
사회복지사 & 복지직 공무원 등 지역사회 복지론 4장.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이해2 (0) | 2022.08.17 |
사회복지사 & 복지직 공무원 등 지역사회 복지론 3장.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이해1 (0) | 2022.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