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신간호학

간호조무사 / 간호학과 시험대비 정신간호학 요약정리 1. 신체증상 및 관련장애

 

I. 개념
신체화란?
Somatization (신체화)
Soma-: 그리스어의 신체(body)라는 뜻
신체증상을 통해 정신적 스트레스를 표현하는 것
사람에 따라 불안, 우울, 분노 등의 감정이 통증, 마비, 또는 설
명되지 않는 피부발진 등 다양한 신체증상
channel로 나타남.
신체증상의 특징: 조직적 병변 없고 병태생리가 뚜렷하지 않음.
무의식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짐 ☞ 원인에 대한 자각이 어렵고
스스로 증상을 조절할 수 없음 ☞
Doctor/hospital shopping
관련 용어
[] 신체형 장애 (somatoform disorder)
Primary gain: 증상을 통한 1차적 이득 (심리적 갈등 해소)
Secondary gain: 증상을 통한 2차적 이득 (문제회피, 관심 등)
Sick role: 환자역할을 통해 의무해방, 의존욕구를 해결함.

생물학적 요인
신체자극의 해석과 통제의 제한
과장된/왜곡적/병적 감각 인식
(직계)가족력이 있는 경우 10~20% 여성에게서 이환

 

심리사회적 요인
내재화된 감정/스트레스를 신체증상으로 표현
자신의 감정을 인식/표현하거나 다루는 데 어려움
갈등/스트레스 상황 시 신체증상 악화
여성의 특성: 신체증상 호소에서 보다 허용적, 의학적
치료를 보다 자주 이용
, 성적 학대와의 관련성 등
증상의 빈도와 유형/의미: 사회문화적 영향
. 아프리카/남아시아에서 손과 발이 타 들어가는 느낌

 

신체증상 및 관련장애
신체증상장애 (Somatic symptom disorder)
질병불안장애 (Illness anxiety disorder)
[] 건강염려증 (Hypochondriasis)
전환장애 (Conversion disorder)
허위성장애 (Factitious disorder)
정신생리장애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medical
condition)

 

1. 신체증상장애

Somatic Symptom Disorder
정의 및 특성
[] 히스테리, 브리케 증후군 (Briquet’s syndrome)
의사의 진단/병리적 소견 없이 심리내적 요인이 여러 가지 만
성적
, 복합적인 신체증상으로 나타나는 장애
여성, 10대 후반 ~ 30대에서 호발함.
대개 걱정이 많고 건강에 대해 과도하게 반응하며, 자신의 건
강상태를 최악의 상태로 생각하고 공포감을 가짐
.
대인관계가 원활하지 않고, 불안/우울/반사회적 행동장애를
보이기도 하며
, 물질남용이 있는 경우가 많음.
의학적 검사나 치료가 불충분하다고 느낌. 신체적 증상의 진
단을 받기 위해 모든 에너지를 쏟다가 고갈되면 정신과에 오
는 경우가 많음
.

신체증상의 특징
모든 장기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남.
주로 신경계/소화기계/여성 생식기계 & 전신증상 등의 혼합
증상 호소의 특징: 극적이고 애매하며 과장되어 있음.
신체증상은 관심, 책임회피, 금전적 보상 등의 2차적 이득을
초래하고 환자의 적응적 변화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함
.

2. 질병불안장애
Illness Anxiety Disorder
정의 및 특성
신체적 징후나 감각을 비현실적으로 부정확하게 인식해서 자
신이 심한 병을 걸렸다는 집착과 공포를 경험하고
, 그로 인해
사회생활이나 직업기능에 장애가 나타나는 상태
건강에 대해 과도하게 걱정하나 뚜렷한 신체증상은 없음.
자신의 신체에 대한 심한 병적 집착과 끊임없는 신체적 호소
및 환경에 대한 흥미 결여가 특징으로 자신이 심한 질병에 걸
렸거나 아프다고 믿고
, 걱정하는 데에 몰두함.
발병: 성별 상관없이 20~30대에 많음.
우울증, 불안장애 동반하는 경우가 많음.
스트레스 상황에서 더욱 악화되는 경향

 

정신역동적 요인
타인에 대한 공격심 또는 증오가 신체적 호소로 전이된 것
과거의 실망, 배척, 상실에서 분노가 일어나고 타인의 도움을
무효화해 그들을 거절하는 것
죄책감과 자기비하가 심한 경우, 신체적 고통은 속죄의 수단
낮은 자존감, 부적절감, 지각 및 인지장애에 대한 방어적 결과
환자역할을 함으로써 여러 가지 곤란한 상황을 모면하고 사회
적으로 책임
/의무의 도피처로 삼는 자기애적 성향과 관련됨.
관련 방어기제: 전치, 퇴행

 

` 경과 및 치료
회복/재발하는 경향, episodic, 발병기간은 수개월 ~ 수년간
지지적 치료자-환자 관계가 정서적 안정에 도움이 됨.
필요 시 약물치료, 정신치료, 지지치료

 

3. 전환장애
Conversion Disorder
기능적 신경학적 증상장애 (DSM-5)
실제 신체적 질병 없이 무의식적인 정신내적 갈등이 신
경계 증상
, 감각기관이나 수의적 운동의 극적인 기
능상실
이 주요증상으로 나타나는 장애
대개 설명되지 않는 감각/운동기능의 갑작스런 상실로
운동장애
(이상운동, 마비)와 감각장애(청력상실, 실명,
난청)가 가장 흔히 나타남.

정신역동적 요인
불안이 감각운동 신경계통의 지배를 받고 있는 장기/신체부분
의 기능장애로
전환된 것
어떤 급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또는 욕구 충족을 위해 받아들
여질 수 없는 것을 신체증상으로 위장
, 증상을 활용하는 것
억압된 욕구, 감정, 생각에서 생기는 불안이 나 감당하기 어려
운 갈등이 그대로 표현되지 않고
상징적으로 체질적인 과민한
기관과 더불어 신체증상으로 전환되어 나타난 것
. 부모가 싸우는 소리를 듣던 아동이 갑자기 듣지 못하는 것,
아버지를 해치려는 충동을 갖고 있는 사람이 자신의 팔과 손
에 마비증상이 오는 것
1차적 이득: 자신의 충동을 수행할 수 없는 갈등/불안의 해소
2차적 이득: 정서적 배려를 받음, 타인을 조종(manipulation),
불쾌한 상황/책임으로부터 해방, 금전적 혜택 등

 

역학 및 경과
발병연령: 사춘기나 성인 초기
여성에게서 2~5배 많이 나타남.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경우, 농촌지역, 저학력, 지능이 낮은
경우
, 전쟁위협을 경험하는 군인에게서 많이 나타남.
한 환자에게서 한두 가지 증상이 나타나는 게 보통이나 여러
가지가 동시에 교대로 나타날 수 있음
.
발병기간은 대체로 짧은 편으로 갑자기 나타나서 수일 또는
한달 정도 지속되다가 갑자기 소실되는 경향
성격적 특징: 수동공격형, 의존성, 반사회적, 연극적
우울 및 불안장애 증상이 흔히 나타남.

 

치료
지지적 정신치료가 효과적
필요 시, 약물치료(benzodiazepine), 환기요법, 행동치료

 

<임상사례>

김양은 갑작스러운 blindness로 입원하게 된 20세의 여성이
. 김양의 눈에 영향을 미칠만한 아무런 병태생리적 증거는
없었다
. 사정을 통해 밝혀진 바에 의하면, 김양은 기억이 없다
고 주장하기는 하지만
, 5세 때 아버지의 권총 자살을 목격했었
. 최근 김양의 남자친구가 자신에게 자살의도를 표현해왔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주치의는 amobarbital sodium을 투
여하고 안정되어 있는 동안 면담을 하기로 결정하였다
. 면담이
이루어지는 동안 김양은 보는 것이 가능했다
. 김양은 그날의
메뉴를 읽고 방 건너편에 있는 시계를 보고 시간을 알아보았다
.
또한 아버지의 자살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안정제의 약효
가 거의 떨어졌을 때
, 김양은 다시 눈이 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