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인복지학

사회 복지직 공무원 사회복지학과 필수 장애인복지학 요점 요약 정리 9. 장애인복지시설

 

9강 장애인복지시설

1. 장애인복지시설역사

1) 장애인복지시설역사

장애인복지법 이전

1950년대 전쟁고아 보호시설에서 출발

1970년대 생활시설로 전환

1981(심신장애자복지법)

장애유형에 따른 시설 분류

 

장애인복지법 개정 이후

1989년 장애인 재활시설, 직업재활시설 등

1990년대, 소규모 공동생활가정 및 단기보호시설 설치 시작

2011년 시설분류 정비

- 장애인 거주시설, 장애인 지역사회재활 시설,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장애인 의료 재활시설, 장애인생산품 판매시설

 

2) 장애인 복지시설 패러다임 변화

지역사회 격리, 분리 보호 훈련, 교육 중점 지역사회 통합 생활

장애인 당사자 선택권(자기결정권)

자립생활 패러다임(정상화, 탈시설화)

시설의 소규모화

2011년 장애인복지법 개정 이후 신축 거주시설 거주인원 제한(30)

 

2. 장애인복지시설 유형

1) 장애인 거주시설

(1) 의미

일반가정에서 생활하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일정기간 거주 요양 지원 등 서비스 제공 및 지역사회생활을 지원하는 시설

장애인 생활시설 장애인 거주시설(2011_

탈시설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기능에 대한 비판

 

(2) 종류

장애유형별 거주시설 - 장애유형을 기준으로 구분, 지체·뇌병변, 시각, 청각·언어, 지적·자폐성 장애

중증장애인 거주시설 - 장애정도를 기준으로 설치, 장애정도가 심한 1급 및 2급 중증장애인이 주 입소대상이며, 항상 도움이 필요한 대상자에게 주거지원, 일상생활지원, 지역사회생활지원, 요양서 비스를 제공한다.

장애 영유아 시설 - 입소일 기준 6세 미만 장애 영유아를 보호, 재활에 필요한 주거, 일상생활, 요 양 등의 서비스제공

장애인 단기거주시설 - 단기간(1개월)의 주거서비스, 일상생활, 지역사회생활 등을 제공, 장애인을 돌보는 보호자의 단기간 휴식을 제공하는 시설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 최대 9명까지 공동생활가정 거주, 장애인들이 스스로 사회에 적응하기 위 하여 전문인력의 지도를 받으며 공동으로 생활하는 지역사회 내의 소규모 거주시설

 

(3) 현황

장애인 거주시설 : 1,505개소 (2016. 12 기준)

구분 장애 유형별 중증 장애인 장애 영유아 단기 거주 공동생활 가정
시설수 381 233 9 146 736

시설거주 장애인 : 30,980

 

(4) 이용대상

무료이용 대상자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수급자

부양의무자 없거나 있어도 부양능력 없는 경우

실비이용 대상자

등록장애인(소득조건 무관)

시설 정원의 30% 이내에서만 이용

2)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

(1) 정의

장애인을 전문적으로 상담·치료·훈련하거나 장애인의 일상생활, 사회참여활동 등을 지원하는 시설

 

(2) 종류

장애인 복지관 점자도서 및 녹음서 출판시설

장애인 체육시설 장애인 생활이동지원센터

장애인 수련시설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장애인 재활치료시설 수화통역센터

 

(3) 현황

시설수 : 1,303개소(2016. 12 기준)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 663개소

장애인복지관 : 231개소

수화통역센터 : 194개소

종사자수 : 11,914

 

(4) 이용대상

등록장애인

해당지역주민 일부 프로그램 이용 가능

 

(5) 위탁

사회복지법인, 장애인단체 등 비영리 법인에게 위탁하여 운영 가능(5)

 

3)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종류 기능
장애인
보호작업장
직업능력이 낮은 장애인에게 직업적응능력 및 직무기능 향상훈련 등 직업재활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보호가 가능한 조건에서 근로의 기회를 제공하며, 이에 상응하는 노동의 대가로 임금을 지급하며, 장애인 근로작업장이나 그 밖의 경쟁적인 고용시장으로 옮겨 갈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시설
장애인
근로작업장
직업능력은 있으나 이동 및 접근성, 사회적 제약 등으로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에게 근로의 기회를 제공하고, 최저임금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며, 경쟁적인 고용시장으로 옮겨 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시설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
작업능력이 극히 낮은 장애인에게 작업활동, 일상생활훈련 등을 제공하여 기초작업능력을 습득시키고, 작업평가 및 사회적응훈련 등을 실시하여 장애인 보호작업장 또는 장애인 근로사업장이나 그 밖의 경쟁적인 고용시장으로 옮겨 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시설

(1) 유형

 

(2) 현황

시설수 : 582개소(2016. 12 기준)

근로사업장 63개소

보호작업장 516개소

직업적응훈련시설 3개소

장애인수 : 17,131

 

4) 장애인의료재활시설

(1) 정의

장애인을 입원 또는 통원하게 하여 상담, 진단·판정, 치료 등 의료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2) 현황

시설 수 : 20개소

 

5) 장애인 생산품 판매시설

(1) 정의

장애인 생산품 판매활동 및 유통을 대행, 장애인 생산품과 서비스 용역 상담, 홍보, 판로개척 및 정보제공 등 마케팅을 지원하는 시설

(2) 현황

·도에 각 1개소씩 운영

 

장애인 탈시설화- 장애인 주거시설은 탈시설화의 기조에 맞추어 세부대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3. 장애인복지시설의 문제점 및 해결과제

1) 장애인거주시설

(1) 장애인 거주시설 정책 철학과 장기적 비전 수립 부재

장애인복지발전 5개년 계획

1: 공동생활가정의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

2: 거주시설의 양적 확충 및 생활환경 개선

3: 서비스 표준화 및 질 관리 시스템 구축

4: 지역사회 통합기능 강화, 소규모 생활시설 확충, 인권보호시스템 강화

 

(2) ·퇴소 기준의 불합리성

엄격한 시설입소 자격기준으로 인한 문제 발생

불명확한 퇴소 기준

 

(3) 예산지원 방식의 문제

단순한 지원

시설 거주자 수에 비례한 보조금 지원

 

(4) 거주시설 이용자의 인권 보호

조건부 비인가 거주시설, 개인 신고시설 등

 

(5) 서비스 질 개선 및 이용자의 자기결정권 확대

서비스 질 개선 및 최소 기준 마련

장애인 거주시설에서의 삶의 질

 

2)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

(1) 공급량 절대 부족 및 지역 간 격차

주거밀집 지역에 대다수 분포 등

 

(2)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시설 별 특성 및 차별화 부족

 

3) 장애인직업재활시설

(1) 경쟁력 낮은 사업 형태

단순조립, 포장 등의 직무 정부의 투자, 지원 등 필요

(2) 직업재활시설 전담 인력 강화

(3) 재정 및 인력부족

 

 

 

<확인문제>

1. 다음설명에 해당하는 장애인복지시설은?

장애인들이 스스로 사회에 적응하기 위하여 전문인력의 지도를 받으며 공동으로 생활하는 지역사회 내의 소규모 거주시설

 

장애인 단기거주시설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장애유형별 거주시설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2.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인 거주시설에 속하는 것은?

장애인 보호작업장 장애인 생활이동지원센터

장애인 수련시설 장애인 단기거주시설

 

3.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장애인복지관 수화통역센터

장애인 보호작업장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4. 직업능력이 낮은 장애인에게 직업재활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보호가 가능한 조건에서 근로의 기회를 제공하는 시설은?

장애인 근로사업장 장애인 보호작업장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 장애인 표준사업장

 

5. 장애인 복지시설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직업재활시설의 경우 재정은 부족하지만 전담인력은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장애인 주거시설은 탈시설화의 기조에 맞추어 세부 대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지역사회재활시설은 지역 간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직업재활시설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경쟁력을 갖춘 사업형태 구상이 필요하다.

 

6. 장애인 거주시설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장애인 거주시설에 대한 장기적이고 일관된 정책적 철학이 부재하다.

예산지원이 단순한 지원에 그치고 있다.

거주 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누구나 쉽게 거주시설에 입소할 수 있는 것이 시설운영의 문제를 야기한다.

 

7. 다음 중 장애인 복지법상 장애인 거주시설은 무엇인가?

장애인 수련시설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장애인 생활이동지원센터

 

8. 장애인 복지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은 비영리법인 위탁운영이 가능하다.

장애인 생산품판매시설은 시·도에 각 1개소씩 운영되고 있다.

장애인 근로사업장은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 포함된다.

향후 장애인 거주시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4.4.3.2.1.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