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심리학

상담사&심리사! 상담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12강. 가족상담

제12강. 가족상담

1. 가족생활에 대한 발달적 접근

1) 가족조직 및 구조의 다양한 형태

➣ 모든 인간의 정체성은 준거집단, 특히 가족이나 준 가족집단의 인정에 의해 형성됨.

➣ 또한 가족간의 의사교류유형(transactional pattern)은 가족 구성원의 심리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임.

2) 가족의 생활주기

➣ 가족도 개인과 마찬가지로 각 구성원들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가족 역할의 변화를 경험하는

생활주기(life-cycle)를 가지고 있음.

➣ 정상적인 가정이라면 세월의 흐름에 따라 다소 비슷한 발달과정(결혼, 첫 아이의 출산, 막내의 출가, 은퇴 등)을 겪어나가게 됨.

# Duvall(1977)의 가족생활주기 8단계

3) 가족의 발달과업

➣ 핵가족의 생활사는 구혼기간에서 시작하여 부부 중 마지막 남은 사람의 사망에 이르기까지 펼쳐짐.

➣ 각 발달단계마다 가족들은 새로운 과업, 새로운 적응기술을 익혀야 할 필요성에 봉착하게 되며, 또한 이에 상응하는 새로운 가족 역기능의 위험이 따르게 됨.

➣ 가족상담의 견지에서 볼 때 구성원의 문제 행동은 자연스럽게 진행되어야 할 가정의 생활주기에

➣ 따라서 증상이란 가족들이 생활주기의 각 단계에 필요한 과업을 달성하는 데 어려움에 봉착했다는 신호임.

4) 역기능적 행동을 유발하는 가족

➣ 역기능적 행동을 일으키는 병원적(病原的, pathogenic) 가족에서는 한 사람 또는 두 사람의 성인 및 모든 어린이들이 자기의 연령, 성, 또는 성격적 특성에 걸맞지 않은 역할을 하고 있음.

(1) 어린이의 부모화(parentification)

(2) 속죄양(scapegoat)

(3) 가족 애완물(family pet)

(4) 고질적인 가족신화(family myth)

어린이의 부모화

➣ 부모가 자녀의 의존성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자녀들의 역할과 자신들의 역할을 바꾸고, 심한 경우에는 자녀가 유아기적인 부모를 돌보아야 할 책임까지 맡고 있기도 함.

➣ 때때로 “어린이 같은 미성숙한 어른”은 어른의 책임을 어린이에게 전가시키고 그것을 ‘허용적’,

‘민주적’, ‘비권위적’이라는 이름으로 합리화시킴.

cf. 피터팬 신드롬 : 감정마비, 게으름뱅이 or 일 벌레, 사회적 불능, 母에 얽매임,

父와 껄끄러움 등

속죄양

➣ 일부 가족에서는 항상 문제를 일으키고, 다루기가 어렵고, 가정에 혼란을 일으키는, 소위 문제아인

속죄양을 두고 있음.

➣ 이 속죄양을 가족상담에서는 IP(Identified Patient)라고 부름.

➣ 일부 가족에서는 가족들로부터 완전하고 이상적인 존재로서의 역할을 부여 받으며 애완물로 취급되는 아이가 있는데, 문제를 일으키는 법이 거의 없으며 어리석거나 어릿광대 행세를 함.

➣ 부모화된 어린이가 가정의 치료자요 보호자이고, 속죄양이 된 어린이가 가정의 말썽꾸러기라면, 가족의 애완물이 된 어린이는 착하고, 애정 많고, 순응적인 존재로서 다른 아이들의 귀감이 됨.

➣ 이런 아이들의 겉에 드러난 명랑하고 착한 모습의 이면에는 깊은 슬픔과 우울이 깔려있기 쉬움.

고질적인 가족 신화

➣ 개인뿐만 아니라 전체 가족들도 신화(myth)를 가지고 있는데, 가족 모두가 공유하고 있는 이러한 신화들은 가족들간의 상호작용 형태를 결정짓고, 보완적 역할을 부여하며, 어느 정도 가족 내의 관계를 규정 짓기도 함.

# 가족신화의 예

1) 배우자는 항상 상대방에게 정직해야 한다.

2) 부부는 모든 문제에 의견을 같이 해야 한다.

3) 부부간에 갈등이 있어도 자녀가 생기면 나아진다.

 

2. 가족상담의 형성 배경

1) 사회역사적 배경

➣ 제 2차 세계대전

➣ 결혼상담, 소집단운동, 아동지도운동

➣ 정신분열증 환자와 그 가족에 관한 연구들

➣ 이중구속이론

➣ 부부균열이론

➣ 가짜 친밀성 이론

➣ 분화/미분화 이론

이중구속이론 (double-bind message)

➣ 이중구속이론은 캘리포니아에 있는 팔로 알토 병원의 Bateson 대화연구소와 Jackson이 설립한 정신건강연구소(Mental Research Institute: MRI)의 연구산물임.

➣ 이중구속이란 논리적으로 서로 모순되는 두 메시지가 동시에 주어져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게 만드는 병리적 대화형태를 말함.

➣ 이들은 정신분열증이 이중구속이라는 대화 구조를 반복적으로 경험함으로써 갖게 되는 병이라고 주장함.

부부균열 이론 (marital schism)

➣ Lidz 등이 주장한 것으로서 부부 모두 또는 한 사람이 자신의 원 가족과 밀착되어 적절한 경계선을 만드는데 실패함으로써 중요한 모든 영역에서 부부간 의견불일치와 다툼이 있게 되는 부부균열(marital schism)과, 부부 중 한 사람의 비합리적인 지배에 대하여 다른 배우자가 모든 것을 양보하는 부부불균형(marital skew)이 나타남.

➣ 부부균열과 불균형으로 인해 자녀들은 부모의 왜곡된 관점과 욕구를 내면화하게 되고, 자신의 정체성을 상실하여 환상의 세계에서 살게 되는데, 환상의 세계는 정신분열증의 환청, 환각 현상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어, 결국 정신분열증을 갖게 됨.

가짜 친밀성 이론 (pseudo-mutuality)

➣ 미국 국립정신보건원의 Wynne 등이 주장한 것으로,가짜 친밀성이란 가족구성원이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서로 친밀하게 지내는 것을 말함.

➣ 가족구성원간 ‘불일치’를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가족이라면, 자신의 의견이 다른 가족구성원의 의견과 다름에도 불구하고 겉으로는 다른 가족구성원의 의견에 동의하고 일치하는 행동을 함으로써 친한 척을 함.

➣ 이렇게 속으로는 의견이 다르지만 겉으로는 친밀한 척하도록 하는 가족역할구조는 구성원들에게 환상의 삶을 살도록 하는데, 가짜 친밀성은 개인의 분화와 독특성을 가족구조가 인정하지 못하는 데서 발생하는 것임.

분화/미분화 이론 (differentiation)

➣ Bowen이 주창한 것으로 이 이론에 의하면, 자연적인 상태에서는 가족이 감정적으로 얽혀 있게 되는데, 이러한 가족감정덩어리로부터 자신을 구별해 내지 못한 미분화된 상태에서는 감정적으로 반사하게 되고, 이 감정반사(emotional reaction)는 가족들을 관계 속으로 더욱 끌어들이게 되어 분화가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악순환의 과정을 밟게 됨.

➣ 이러한 미분화는 자아의 기능이 다른 사람들과 융해(fusion)되어 있는 상태로서, 자아가 관계에 융해되면 될수록 정신분열증 증상은 더 심해진다는 것임.

➣ 이렇게 자아가 융해되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것이바로삼각관계(triangle)임.

 

2) 이론적 배경

➣ 일반체제이론 (general system theory)

➝ 1940년대에 생물학자 Bertalanffy가 주창한 이론.

➝ 체제(system)란 서로 상호작용하는 구성요소들의 복합체를 의미함.

➝ 경계선(boundary)은 체제와 환경, 체제와 체제를 구분시켜 주는 것.

# 개방체제 vs. 폐쇄체제

엔트로피(entropy)와 네겐트로피(negentropy)

➣ 엔트로피, 네겐트로피 모두 체제내의 에너지 사용과 관련된 개념.

➣ 엔트로피 (entropy) : 체제가 스스로를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에너지를 사용하고자 하는 성향.

예) 음식의 공급이 없을 때 몸 속의 영양분을 사용하는 것.

➣ 네겐트로피(negentropy) 또는 네트로피 (netropy) : 엔트로피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체제가 자신의 체제를 유지하기 위하여 스스로 에너지를 창조해내는 현상.

예) 부부체제를 유지하기 위하여 배우자를 격려, 칭찬하는 등의 상호작용을 하는 현상.

체제(system)의 특징

➣ 항상성 유지 기제 (homeostatic mechanism)

➣ 피드백 기제 (feedback mechanism)

➣ 비 총합성 (non-summativity)

➣ 전체성 (wholeness)

 

3. 가족상담의 이론적 모형

1) 개관

➣ 가족상담자들은 모든 가족을 하나의 사회체제로 보고, 가족 전체를 다루려고 하는 점에서는 견해를

같이 하지만 중요한 이론적 가정과 상담기법 등에서는 관점을 달리 하고 있음.

➣ 다양한 관점의 상담 모형을 분류하는 방식은 학자에 따라 서로 다른데 , 여기에서는 Goldenberg 와

Goldenberg의 분류에 따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이론적 모형을 소개하고자 함.

1) 가족 정신역동적 이론 2) 가족 의사소통 이론

3) 구조적 가족 이론 4) 가족 행동적 이론

 

2) 가족 정신역동적 이론

➣ 가족 정신역동적 이론(family psychodynamic theory)은 주로 정신분석학적 모형에 바탕을 두고 있으나, 인간의 동기와 불안의 원천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개인내의 양극적 세력(예: 성적 욕망과 충동 vs. 죄의식 및 양심)의 상호작용에서 확장하여 가족 성원들의 내적 생활과 갈등이 어떻게 연결 (match)되어 문제를 유발하는지 규명하고자 함.

➣ 상담의 목표는 개인을 가족이라는 거미줄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이며, 과거의 무의식적인 이미지보다는 현실에 기초하여 건강한 개인으로서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조력함.

➣ 주요 인물로는 Ackerman, Boszormenyi-Nagy, Bowen 등이 있음.

 

3) 가족 의사소통 이론

➣ 가족 의사소통 이론(family communication theory)에서는 가족구성원들간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이 문제의 근원이라고 봄.

➣ 상담의 목표는 가족성원들간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변화시키고 의사소통기술을 습득하도록 조력함.

➣ 주요 인물로는 Bateson, Jackson, Haley, Satir, Watzlawick, Weakland 등이 있는데, 이들은 정신분열증 환자의 가족을 연구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정신분열증 환자의 가족들은 이중구속적 메시지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기도 하였음.

 

4) 구조적 가족 이론

➣ 구조적 가족이론(structural family theory)에서는 가족의 문제가 역기능적 가족구조에 의해서 유지된다고 보고 가족구조의 변화에 관심을 두고 있는 관점임.

➣ 대표적 인물은 Minuchin임.

#주요개념 : 경계선(boundary), 속박(enmeshment)과 유리(disengagement)

#상담기법 : 합류( joining), 가족 상호교류유형의 실행(enactment), 경계선 구분 짓기, 과제 부여

(상담시간중의 과제 혹은 숙제(homework)), 증상의 이용(증상의 과장, 무관심, 새로운\

증상의 이용) 등

 

5) 가족 행동적 이론

➣ 가족 행동적 이론(family behavioral theory)은 가족이 직면하는 문제에 행동수정의 이론과 실제적 기법을 적용한 것임.

➣ 결혼생활에서 나타나는 문제는 낮은 수준의 강화자극과 높은 수준의 혐오자극에 기인하는 것인데, 혐오자극의 통제를 통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은 감소시키고, 강화자극의 제시를 통해 긍정적인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음.

➣ 주요 인물로는 Liberman, Stuart 등이 있는데, 초기의 행동주의적 가족상담자들은 가족 전체를 상담 대상으로 취급하지 않고 특정한 가족성원 개인에게만 초점을 맞추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