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심리학

상담사&심리사! 상담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10강. 행동중심 상담이론 2

10. 행동중심 상담이론2

1. 개관

1) 행동수정이론의 기초

행동중심 상담이론은 측정이 불가능한 가설적인 개념인 ‘정서’나 ‘인지’를 변화시키려는 전략과 달리 직접적으로 관찰 가능한 행동을 변화시키려는 방법임.

행동을 변화시키려는 전략을 행동수정이론(behavior modification theory)이라 하는데, 행동수정이론은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사회학습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음.

제 9강에서는 행동수정이론의 근거가 되는 주요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사회학습이론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10강에서는 행동수정이론의 이론적 가정과 특징, 행동수정의 목표와 절차, 주요 기법 등에 대해 살펴볼 것임.

 

2. 행동수정이론의 기본 가정 및 특징

1) 행동수정이론의 기본 가정

행동이 핵심적 관심사

행동수정이라는 말이 암시하고 있듯이 행동수정이론은 행동을 중시함. 즉, 한 개인이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어떠한 행동을 하느냐 가 관심의 초점임.

따라서 관찰과 측정이 불가능한 의식, 성격, 사고와 같은 내적 심리구조나 과정 등은 치료나 연구의 대상에서 일단 제외하거나, 그것들을 구체적인 행동상의 문제로 변환하여 교육과 치료의 대상으로 삼음.

대부분의 행동은 학습된 것

행동수정이론에서는 대부분의 인간행동은 학습된 것으로 봄.

즉, 생리적, 유전적 원인에 의한 것이라는 확증이 없는 한 모든 행동은 학습된 것으로 봄.

정상행동이나 이상행동이나 모두 동일한 원리에 의해 학습된다는 것임.

행동은 환경자극에 의해 결정됨

행동수정이론에서는 인간 행동의 원인이 인간 내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외부세계에 있다고 봄.

즉, 어떤 행동의 형성, 유지, 제거는 환경자극에 의해 결정됨.

행동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자극이란 행동의 발생 직전에 주어지는 선행자극(변별자극)과

행동 후 즉시 뒤따르는 후속 자극(강화자극 또는 벌 등)을 말함.

행동의 현재적 결정요인 중시

행동수정이론은 행동문제의 치료에 있어서 과거보다는 현재를 중요시함.

즉, 과거의 어떤 경험이나 자극이 문제행동의 원인이라고 하더라도 이미 지나간 과거의 요인을

통제할 수는 없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통제가 가능한 지금 여기에서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에 관심이 있음.

행동은 맥락 속에서만 유의미함

행동은 그 행동이 나타난 맥락(context)을 떠나서는 제대로 이해될 수 없음.

똑같은 행동이라고 하더라도 맥락(또는 상황)이 다르면 그 의미는 천차만별일 수 있음.

예) 옷 벗기, 책 읽기 등

 

2) 행동수정이론의 특징

주목할 만한 의미 있는 변화에 관심

행동수정이론은 한 개인의 사회적응행동에 주목할 만하고 의의 있는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함.

주목할 만하고 의의 있는 변화란 행동수정 이후의 적응행동이 행동수정 이전의 행동보다도 훨씬 더

적응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함.

물론 이론적인 연구에서는 사소한 변화라도 그것이 어떤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지에 대해 관심을

둘 수 있지만, 행동수정은 사소한 행동의 사소한 변화보다는 사회에 적응해 나가는 데 필요한

중요한 행동이 상담 전과는 전혀 다른 수준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관심을 가짐.

구체적인 행동에 초점을 맞춤

행동수정이론은 문제행동을 그 구성요소와 하위 요소로 세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구체적, 체계적으로 수정시키고자 함.

표적행동의 세분화는 그 행동을 관찰, 측정하기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증거가 희박한 추상적 개념(예: 자아, 자아실현 등)을 피함으로써 과학적인 이론체계를 촉진시킬 수 있음.

따라서 상담의 목표를 "자아의 힘의 강화", "자아실현"이라는 식으로 표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행동의 의거점이 모호하기 때문에 상담활동에 크게 도움을 주지 못할 뿐 아니라 오히려 상담활동에 혼란을 일으킬 수 있음.

개인에게 적합한 행동수정방법 모색

행동수정이론은 행동수정과정에서 행동의 개인차를 인정하고, 그 개인차에 적합한 행동수정방법을 모색함.

cf. 전통적인 비지시적 상담이나 정신분석에서는 치료의 표적과 궁극적 목적이 행동적으로

세분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개의 경우 모든 개인을 동일한 방법으로 치료하게 됨.

개인차에 적합한 행동수정방법을 모색한다는 것은 행동수정이론 자체가 계속해서 수정되고 보완되어 나가는 길을 터놓고 있다는 말과도 통함.

따라서 A라는 방법이 효과가 없다는 것이 확인되면 지체없이 그 방법 대신 다른 방법을 강구함.

단일개체 실험설계 사용

➣행동수정이론은 그 연구나 상담효과의 평가에 있어서 단일개체 실험설계 (single-organism-within -subject design) 를 활용함.

➝ 1) 일상행동의 빈도 관찰(기초선 수준 결정), 2)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실시(실험/상담

단계), 3) 기초선 단계로의 반전, 4) 변화요인에 의한 재 반전

➣ 반전-재 반전을 통해 행동이 치료요인의 작용으로 변화되었는지, 아니면 단순한 시간의 경과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음.

 

 

 

3. 행동수정의 의미와 목표

1) 행동수정의 의미

➣ 행동수정(behavior modification)은 행동 그 자체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어떤 행동에 선행하는 자극이나 후속하는 결과에 조작을 가하여 변화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행동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방법.

2) 행동수정의 목표

➣ 인간의 모든 행동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소산이라는 주장에 그 이론적인 근거를 두는 행동수정이론은 행동과 환경의 관련성에 그 수정의 목표를 두고 있음.

➣ 행동수정의 목표

① 적응행동의 강화

② 부적응행동의 약화

 

4. 행동수정의 절차와 기법

1) 행동수정의 절차

목표행동의 구체화와 세분화

➣ 행동수정의 첫 단계는 궁극적으로 학습시키고자 하는 행동을 구체적으로 규정해 두는 일임.

* 구체적, 행동적 용어로 진술

예) 독립적으로 행동한다. → 혼자서 세수할 줄 안다.

혼자서 옷 입을 줄 안다.

* 세분화

예) 수업에 주의를 집중한다.

→ 교사의 질문이나 지시에 주의를 기울인다.

다른 아이들과 장난하지 않는다.

기초선 수준의 설정

➣ 기초선(baseline) : 표적행동(목표행동)의 양과 길이를 측정한 자료의 평균치.

➣ 행동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방법

→ 빈도 관찰법 : 어떤 행동이 일정한 시간 동안 얼마나 빈번히 일어나는지 그 수를 헤아려보는 방법

→ 지속시간 관찰법 : 행동의 횟수보다 그 지속시간을 관찰하는 방법

→ 시간표집법 : 하루 중 가장 잘 관찰할 수 있는 일정한 시간을 정해놓고 관찰하는 방법

동기유발자극의 선정

➣ 행동은 강화에 의해 학습되고 변화되기 때문에 강화의 원천을 발견하고 확인해 두는 것이 필요함.

➣ 그런데, 사람에 따라 강화로 작용하는 것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행동수정 대상자에게 잘 들어

먹힐 강화자극이 무엇인지 알아낼 필요가 있음.

➣ 이 때 그 메뉴를 다양하게 알아내야 하는데, 이렇게 하는 이유는 강화자극의 포만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임.

행동수정의 실천

➣ 행동의 구체화, 세분화가 끝나고 현재의 행동의 기초선 수준의 관찰을 통하여 행동의 심각성 정도가 확인되어 행동수정의 출발점이 결정되면 다양한 행동수정 기법을 적용하여 행동수정의 실제에 착수하게 됨.

➣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것은 행동수정의 궤도를 수정하는 문제임.

➣ 행동수정 상담자는 자신의 행동수정전략이 효과가 없다는 것이 확인되면 지체 없이 그 전략과 방법을 검토하고 진로를 수정해 나가야 함.

행동수정의 종결

➣ 종결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

1)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행동수정 프로그램은 그 사람의 활동전반에까지 확대되어야 함.

2) 행동수정의 확대실시는 행동수정의 초기단계 즉, 새로운 행동을 학습시키는 첫 단계에서 특히 잘

지켜져야 하며, 이후에는 계속적인 강화보다는 간헐적 강화를 제공함으로써 학습된 행동을 유지

시켜야 하는데, 이 때 계속적 강화에서 간헐적 강화로의 전환은 가능한 한 점진적이어야 함.

3) 행동수정을 종결했다고 해서 결코 잊어서는 안될 것은 강화를 중단해서는 안 된다는 것인데,

왜냐하면 강화가 주어지지 않는 행동은 결국 소멸되고 말기 때문임.

 

2) 행동수정의 기법

강화에 의한 행동수정

➣ 강화하는 요령

* 선결 조건: 강화물의 발견

(1) 즉각적 강화

(2) 충분하되 넘치지 않게

(3) 차별적 강화

(4) 일관성 있는 강화

행동형성법 (shaping)

➣ 행동형성(shaping) : 반응의 질을 점차적으로 변화(학습)시켜 나가는 것으로서 처음에는 간단한

반응을 요구하지만 점차 강화자극을 주는 기준을 까다롭게 하여 보다 복잡

하고 정교한 반응을 습득시켜 나가는 방법.

예) 음~음(옹알이) . 음~마 . 엄마

행동연쇄법 (chaining)

➣ 행동은 실제로는 단절된 단일의 행동이 아니라 복잡한 작은 행동들로 구성되어 있음.

➣ 행동연쇄(chaining) : 한 사람의 행동 레퍼토리에 이미 존재하는 단순한 행동을 적절한 방법으로 연결하여 보다 복잡한 행동을 학습하도록 하는 방법.

예) 옷 입기, 세수하기 등

* 전진행동연쇄(forward chaining)

* 역순행동연쇄(backward chaining

혐오통제 에 의한 행동수정

➣ 혐오통제(aversive control)는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이나 이상행동에 수반하여 불쾌한 혐오자극을 주거나 정적 강화자극을 박탈함으로써 그 행동의 발생을 방지하려는 것임.

➣ 혐오통제의 방법으로는 벌, 소거, 타임 아웃(timeout)등이 있음.

※ 타임 아웃 사용시 유의사항

* 문제행동이 나타난 장소에는 그 행동을 강화하는 정적인 강화자극이 있어야 함.

* 타임 아웃 시키는 장소에는 정적인 강화자극이 전혀 없어야 함.

 

기타 방법에 의한 행동수정

➣ 체계적 감감법(systematic desensitization)

➣ Wolpe의 상호제지이론에 기초함.

1) 긴장 이완

2) 불안 위계표 작성

3) 불안 목록 제시 및 긴장 이완 반복

cf. 범람법 (flooding)

➣ 관찰학습 : 자기강화, 대리강화, 자기처벌, 대리처벌